Minecraft Modification

[초보자 가이드] 2. 기본적인 모드를 다루자

엔티머의 이야기/초보자 가이드




전편에서는 시작하기 전 단계인 '모드팩 설치'를 알려드렸습니다. 이제 설치가 되었으니 모드팩을 플레이할 일만 남았죠. 하지만 초보자 분들은 모드팩을 플레이해도 모드를 다룰줄 몰라서 원래 바닐라 플레이밖엔 하실수 없을겁니다.


이번편부터는 그 모드들을 다루기 위해 이 강좌를 읽으실 텐데요, 2편에서는 그 모드들 중에서도 '아주 기초적인', 그러면서도 '없어서는 안될' 모드들, 다시말해 기본 모드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이 모드들도 깊이 파고들면 모드 하나하나만으로도 한 강좌를 때울수 있을만큼 기능이 있지만, 초보자 분들도 그렇고 저희도 거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 다수입니다. 핵심적인 기능만을 알려드리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너무 길어지지 않기 위해서)




월드 생성

일단 모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월드를 만들어야 합니다. 전편에서 한 대로 모드팩을 실행한다면 위 스크린샷과 비슷하게 나타날 겁니다.(가장 중요한것은 왼쪽 위에 있는 FTB Lite 3)



그전에 잠시, 기본적으로 '상식'같은 것으로 알아두시면 좋은게, 메인화면에서 Mods를 누르시면 현재 적용되고 있는 모드들의 리스트를 쫙 나열해 보여줍니다. 어떤 모드가 있나 살펴보셔도 됩니다.



그럼 본론으로 돌아가서 월드 생성을 해야죠. FTB Lite3의 현재 버전(1.0.3)에서는 월드 생성 조정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바닐라에서 하던 대로 만들어 주세요.



그런데 월드가 만들어진 뒤 화면에 이런 메세지가 뜹니다. 어떤 모드들의 경우 새 버전이 나오면 알려주거나 현재 버전을 알려주기도 하고 하는 등의 메세지로 크게 신경쓸 부분은 아닙니다. 난 최신버전을 해야 한다 하시면 확인해보세요.




Not Enough Items

그런데 인벤토리를 열어 보니 뭔가 생겼습니다! 투매니 모드를 해보신 분이라면 뭔가 익숙한 느낌이 드시겠지만, 틀렸습니다. 이 모드는 Not Enough Items라는 모드로 줄여서 NEI라고 많이 부르는 모드입니다.


그럼 기능도 다르냐? 다릅니다. 아래에서 주요 사용법을 알려드리죠.



원하는 아이템을 찾아 R키나 왼클릭을 하면 그 아이템의 최종 조합법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그 아이템에 대고 U키나 오른클릭을 하면 그 아이템으로 조합하는 아이템의 조합법이나 그 아이템을 연료로 사용하는 법 등, 간단히 말해 '사용법'을 보여줍니다.


어떤 분은 "그럼 조합법 가이드 모드와 같은 기능 아니냐?"하실수 있지만, 조합법 가이드 모드가 더 좋았다면 명색이 최고의 모드팩인 FTB팩에 NEI대신 그 모드가 들어갔겠지요.


위 스샷에서 알수 있듯이 NEI는 '모드에서 추가하는 조합법'까지도 보여줍니다. "그건 조합 가이드도 몇몇 모드 호환한다" 라고 하신다면 전 이렇게 답해드리죠. "조합대로 가능한 조합법은 그게 바닐라든 모드든 모드가 몇개든지 전부 다 알려줍니다"



외에도 조합법 가이드가 따라올수 없는 기능중 하나는 조합법 가이드보다 훨신 많은 양의 '모드 고유 기계 조합법'까지도 호환단다는 것이죠.



또한가지 주요 기능은 아래 검색창입니다. 모드에서 추가하는 아이템은 엄청나게 많습니다. 가장 가벼운 모드팩인 라이트도 가로8개 세로14개 총 112개가 한페이지에 보임에도 불구하고 17페이지에 달하죠. 이것은 무거운 모드팩으로 갈수록 엄청나게 늘어나고 모드가 많은 경우 세자리수의 페이지도 구경할수 있습니다.


그땐 일일히 찾아볼수 없기도 하고 그 조합법을 다 외울수도 없고 하니 검색을 통해 찾아주고 조합법을 확인하는 용도로 쓰이죠.


모더에게 NEI가 없으면 모드 진행이 상당히 느려지게 됩니다.


몇가지만 정리해 드리고 넘어가죠.

 단축키

 기능

 R 또는 왼클릭

 해당 아이템의 조합법을 알려준다.

 U 또는 오른클릭

 해당 아이템의 사용법을 알려준다.

 백스페이스

 이전 화면으로 돌아간다.




Waila

인벤토리를 내리고 세상을 구경하던 중 블럭을 쳐다봤는데 이런 툴팁이 화면 상단에 나타납니다. 이 모드는 What am I Looking at이라는 모드로 '내가 보고있는 것이 뭐지'라고 해석되죠. 줄여서 웨일라(Waila)라고 많이 합니다. 참고로 이 모드는 NEI의 애드온(기능 추가)모드.


이 모드는 이름 그대로 '보고있는것'이 '무엇인지' 알려줍니다. 잘 보시면 블럭의 이미지와 이름, 그리고 어디서 추가하는 것인지 알려주죠.


아래쪽 'Currently Harvestable:현재 채취 가능'과 'Effective Tool:효과적인 도구'는 웨일라의 애드온(기능 추가)모드인 웨일라 하베스터빌리티에서 추가합니다. 현재 채취 가능 여부는 체크되어 있다면 캘수 있는것이고, 엑스자 표시라면 불가능한 것이죠. 아래쪽 효과적인 도구는 이 블럭을 캐는데에 가장 효과적인 도구의 종류를 알려주죠.



모드의 블럭도 피해갈수 없습니다.



동물도 나오죠.




두 모드가 기본모드인 이유

NEI와 웨일라는 현재 모드팩에서는 절대 빠지지 않는 모드가 되었는데요,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일단, 이 기능을 대체할 모드는 없습니다. NEI의 기능은 투매니와 조합법 가이드로 나누어 대체할수 있지 않냐고 생각해볼수 있지만 실제로 투매니가 NEI보다 나은점은 제가볼때 인챈트 가능 레벨이 높은거밖에 없습니다. 조합법 가이드의 경우 NEI를 이길 기능이 없죠. 실제로도 NEI=투매니+조합가이드+a 입니다.


그리고 NEI의 모드 호환성을 따라오는건 없습니다. 조합대에서 조합하는 조합법은 100% 전부 보여주고 모드의 블럭으로만 조합 가능한 제조법도 정말 인기가 없거나 신생 모드가 아니라면 거의 다 나옵니다. 부족한 부분의 경우 NEI의 애드온인 NEI Plugin, NEI Addon 이라는 두 모드가 채워주죠.


NEI야 불편함을 감수하고 어떻게 할지 몰라도 웨일라의 경우 비슷한 기능의 모드조차 찾기 어렵습니다. 몬스터의 경우 대미지 인디케이터 모드가 있지만 그건 몬스터 외적인 부분은 전혀 도움되지 않죠.


모드에서는 아이템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그렇기에 아무리 모드를 몇년간 해왔어도 모든 모드의 블럭을 알수 없고 모든 조합법을 외울수 없습니다. 이런 사람들에게 블럭의 이름을 알려주고 조합법을 알려주고 사용법까지 알려주는 모드는 최고의 모드라 할수 있죠.




마치며

이번편은 절대 빠질수 없는 2가지 모드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다음번에도 다시 방문해 주시고 하실 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블로그 규칙 - 2014.11.11.

블로그 공지



1장. 본 블로그에 대하여 "필자" 이상의 권한을 가지신 분들에게만 적용되는 규칙


1조. 모든 강좌 글의 제목은 "[시리즈명] 편. 제목" 형식이어야 한다.


2조. 모든 강좌/일상기의 공개 설정은 "발행"으로 하되, 분야를 "IT" -> "게임"으로 선택하여야 한다.


3조. 모든 인원들은 담당한 모드에 대한 강좌를 끝까지 써야 한다.


4조. 과도한 강제개행이 발견될 시에는 비공개 처리한다.


5조. 모든 강좌/일상기에는 사진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단, 오버뷰는 제외한다.


6조. 1달 동안 아무런 강좌/일상기를 올리지 않을 시에는 팀블로거의 자격을 박탈하며, 유형조합법이 즉석에서 손수 제조한 전설적인 수명연장약을 덤프트럭으로 먹는다.


7조. 글에서 과도한 맞춤법 오류가 발견될 시에는 비공개 처리한다.


8조. 위 2조/4조/5조/7조를 상습적으로 위반 시에는 팀블로거의 자격이 박탈될 수 있다.


2장. 모든 분들에게 적용되는 규칙


1조. 같은 내용의 덧글 혹은 방명록을 여러 번 올릴 시에는 첫 번째 덧글 혹은 방명록을 제외하고 전부 삭제한다.


2조. 이 블로그는 무개념을 사절한다.

'블로그 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페카에서 신입모집을 한답니다.  (6) 2015.01.09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5) 2015.01.01
개인사정으로 인해 당분간은 강좌 쉽니다  (5) 2014.12.19
가로폭 수정 알림  (1) 2014.11.29
스킨 추천좀  (3) 2014.11.28

[빅리액터] 2. 원자로를 만들자! 응용편

강좌/기술 계열/Big Reactors[完]


2. 원자로를 만들자!

응용편 - 원자로 유리

그리고 증기 원자로


준비물: 금, 레드스톤, 청금석, 철 곡괭이 잔뜩


안녕하세요, 쉡크입니다. 지난 강에서 우리는 가장 단순한 원자로를 만들었죠. 이번 편에서는 더 큰 원자로를 만드는 법과, 원자로를 더 크게 만들지 않고도 효율을 높이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1. 원자로 확장


2-1-1. 원자로 유리(Reactor Glass)



조합법. 싸죠? 자동조합 만들어두세요.


2-1-2. 원자로의 필수 조건


1) 원자로는 무조건 직육면체여야 한다.


둥근 원자로 같은 건 없습니다.


2) 직육면체의 모서리는 무조건 케이싱이어야 한다.



요렇게. 제어기나 유리가 모서리에 있으면 안 됩니다. 면에는 OK. 아, 원자로를 맨손으로 우클릭하면 뭐가 모자란지 말해줍니다.


3) 원자로에는 반드시 제어기 1개, 전력 출력부 1개 이상, 접속 포트 1개 이상, 연료봉 1개 이상, 제어봉 1개 이상이 있어야 한다.


하나라도 빠지면 고자 원자로 됩니다.


4) 연료봉은 바닥부터 천장까지 이어져야 하고, 꼭대기에는 제어봉이 위치해야 한다.


뭔 소린지 모르겠다고요?



이렇게 연료봉이 바닥에만 있으면 안 된다 이 말입니다.



제어봉이 없는 이거 또한 원자로가 아닙니다.



제어봉을 달았더니 원자로가 완성되었습니다. 폭풍간지


2-1-3. 냉각제


원자로는 기본적으로 가동 시 열이 발생합니다.



그래요, 이거.


보시면 알겠지만 열은 두 부분, 즉 중심부와 케이싱의 열로 나뉘어 있습니다. 중심부의 온도가 높을수록 효율이 떨어지고 케이싱의 온도가 높을수록 출력량이 올라갑니다. 1강에서 케이싱 온도가 효율과 관련이 있다고 했는데 확인해 본 결과 효율과는 무관합니다. 잘못된 정보 죄송합니다. 하여튼, 원자로의 열은 기본적으로 연료봉에서 발생합니다. 당연하죠. 연료봉에서 핵분열이 일어나니까요. 연료봉에서 발생한 인접한 동서남북 4개의 블럭으로 퍼져나갑니다. 그러면 연료봉을 띄엄띠엄 놔야겠다고요? 그게 능사가 아닙니다. 방사능(Radiation)이라는 효과 때문에 연료봉들을 붙여 두면 효율이 높아집니다(...) 아오 복잡해.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행히 연료봉들을 떼어 두지 않고도 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게 바로 냉각제입니다!


냉각제는 원자로 안에 금속 블럭을 넣거나 액체를 부어넣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이 때, 흐르는 블럭과 근원 블럭 모두 똑같이 인시고딥니다. HAYO! 냉각제로 사용 가능한 블럭/액체는 바닐라의 철/금/다이아몬드 블럭, 써멀 익스팬션의 액체 5종(불타오르는 파이로시움/활성화된 발광석/불안정한 레드스톤/얼어붙는 크라이오시움/공명하는 엔더. 액화 석탄은 안 됩니다)과 물입니다. 아, 공기도(...) 다음은 대략적인 가격과 성능.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성능이 구립니다. 점도도 적어놓음. 왼쪽부터 이름과 점도, 가격, 



공기(Air), 점도 그런 거 없다

공짜

쓰레기

불타오르는 파이로시움

(Blazing Pyrotheum)

6칸

많이 비쌈

존나 구림

물(Water), 8칸

거의 공짜

구림

활성화된 발광석

(Energized Glowstone)

8칸(위로 올라감)

구림

철 블럭(Block of Iron), 고체

평범

평범

불안정한 레드스톤

(Destabilized Redstone)

8칸

존나 쌈

약간 좋음

금 블럭(Block of Gold), 고체

비쌈

좋음

얼어붙은 크라이오시움

(Gelid Cryotheum)

6칸

조금 비쌈

많이 좋음

다이아몬드 블럭

(Block of Diamond), 고체

존나 비쌈

존나 좋음

공명하는 엔더

(Resonant Ender)

4칸

많이 비쌈

개사기


종합해 보면 중반에 쓸만한 건 불안정한 레드스톤이고, 후반에는 공명하는 엔더가 쓸만합니다. 금이나 다이아몬드 블럭은 너무 비싸고, 발광석은 너무 구리고, 철은 안 멋진데다가(...) 레드스톤보다 딸리고, 크라이오시움은 적당히 좋고 가격도 별로 비싸진 않지만 만들기가 귀찮습니다(...) 써멀 액체들을 만드는 법은 애플래시님이 올리실 써멀 공략에 나올 겁니다. 안 내보내면 어쩌냐고요? 유혈사태가 일어납니다(웃음. 아, 파이로시움은 어떠냐고요? 그건 테러용과 마그마틱 다이나모에서 200만 RF 만드는 용도를 제외하면 아무런 쓸모도 없... 을 듯.최소한 냉각제로는 최악입니다. 이 개년은 심지어 주변에 불도 붙임



크리모드니까 가장 좋은 공명하는 엔더를 쓸게요. 뚜껑을 열고 부어줍시다. 아 참, 저 안에 빠지면 근처로 텔레포트합니다. 조심합시다. 파이로시움에 빠지면 타죽고 크라이오시움에 빠지면 얼어죽습니다.



이렇게 만든 폭풍간지 고성능 원자로. HAYO?



위쪽은 냉각제를 끼얹기엔더진주 같은 걸 끼얹나? 전 사진이고, 아래쪽은 냉각제를 넣은 후 사진입니다. 어떄요, 온도 차이가 확연하죠? 발전량이 800RF/t도 넘게 늘어났고 효율도 0.024mB/t나 늘어났습니다. HAYO! 우리 모두 냉각제를 써 보아요!


2-2. 증기 원자로

2-2. 증기 원자로

2개가 보이는 건 기분 탓


냉각제를 넣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원자로의 크기를 키워야 합니다. 근데 나는 공간이 없어요!!! 효율 구리고 발전량도 구린 원자로만 써야 하는 건가요??? 하시는 분들을 위해, 증기 원자로가 있습니다! HAYO! 증기 원자로는 RF가 아닌 증기(Steam)을 생산합니다. 레일크의 그 증기 맞습니다. EU 증기 터빈에도 넣을 수 있고, 공업용 증기 엔진에도 넣을 수 있고, 로터리 증기 터빈에도 넣을 수 있고, 스팀 다이나모에도 넣을 수 있고... 그러면 만들어볼까요.


2-2-1. 원자로 냉각수 포트


실제 원자력 발전의 원리는 화력 발전과 동일합니다. 단지 열을 생산하는 방식이 다를 뿐이죠. 원자로 안으로 냉각수를 집어넣고 그 냉각수가 원자로를 식히면서 수증기로 변합니다. 이 수증기는 터빈으로 보내져 회전축을 돌리고, 회전축은 발전기에 연결되어 발전기가 돌아가 전기를 만드는 원리. 빅 리액터의 증기 원자로에도 냉각수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냉각수를 공급받는 블럭이 바로 원자로 냉각수 포트(Reactor Coolant Port)입니다.



조합법. 별로 비싸진 않네요. 근데 이게 적어도 2개는 필요함.



냉각수 포트를 설치하면...



이렇게 GUI가 환골탈태하며 증기 원자로가 됩니다! HAYO?


2-2-2. 증기 원자로의 GUI

2-2-2. 증기 원자로의 GUI

2개가 보이는 건 기분 탓

2개가 보이는 건 기분 탓





2-2-2-1.평균 온도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2-2-2-2. 현재 증기 생산량


현재 틱당 생산되는 증기의 양을 나타냅니다. 사실 계산식은 일반 원자로의 RF 생산량 공식에서 상수만 바꾼 겁니다(...)


2-2-2-2. 현재 증기 생산량


현재 틱당 생산되는 증기의 양을 나타냅니다. 사실 계산식은 일반 원자로의 RF 생산량 공식에서 상수만 바꾼 겁니다(...)


2-2-2-3. 현재 연료 소모량


일반 원자로와 동일


2-2-2-4. 몰라


2-2-2-5. 원자로 상태


켜져 있는지 꺼져 있는지 말해 줍니다.


2-2-2-6. 연료 상태바

2-2-2-7. 케이싱 온도

2-2-2-8. 중심부 온도

2-2-2-9. 에너지 버퍼


일반 원자로와 동일, 단, 전력이 아닌 증기가 생산되기 때문에 에너지 버퍼 바는 유명무실합니다.


2-2-2-10. 냉각수


안에 들어있는 냉각수의 양을 말해 줍니다. 경고하는데, 애퀴어스 한두 대로는 절.대.로. 이게 차지 않습니다.


2-2-2-11. 증기


생산된 증기는 일단 여기 저장됩니다. 출력 모드의 냉각수 포트와 거기에 연결된 파이프/탱크 등등이 있다면 그리로 빠져나가고요. 냉각수 포트를 출력 모드로 바꾸려면 맨손이나 빌드크래프트 렌치/써멀 익스팬션 크레센트 해머/써멀 익스팬션 인바 배틀렌치/엔더 IO 예타 렌치/포레스트리 렌치/마인팩토리 릴로디드 정밀 슬레지해머/머신뮤지즈 모듈러 파워 수츠 파워 피스트 옴니렌치 모듈/레드스톤 아스널 플럭스 인퓨즈드 옴니렌치/레드스톤 아스널 플럭스 인퓨즈드 배틀렌치로 우클릭하면 됩니다. 참 쉽죠?


이제 냉각수 포트를 통해 물을 존.나. 공급해 줍시다. 소모량이 괴랄합니다. 엑유 노드에다가 마이닝, 스피드 업글 2개씩 박는 걸 추천




위쪽은 일반 원자로, 아래쪽은 증기 원자로입니다. 스팀 다이나모를 사용 시 40mB/t가 80RF/t이므로 2420RF/t이던 게 560RF/t로 줄었네요. ... 형편없잖아?! 이걸 왜 써?!


아닙니다. 빅 리액터는 자체적인 증기 발전 시설을 추가하는데, 이게 효율이 매우 좋습니다. 다음 강에서 설명하죠.



HAYO!


P.S. 원자로는 부산물이 있습니다. 연료 바를 보면 점점 Waste가 높아지는 게 보이실 텐데,



이 Waste 수치가 1000mB가 되면 사이아나이트 주괴(Cyanite Ingot)이 되어 방출됩니다. 이 주괴의 사용법은 다음 강에.








헥헥